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일본의 계절에 관련된 전통문화에 대해서 알려드릴 텐데요.
오늘은 우나기(장어) 먹는 날과 한국 추석과 일본 오봉의 차이를 알려드릴게요.
1. 일본에서 우나기 (장어) 먹는 날
일본에는 여름에 몸보신을 위해서 장어를 먹는 날이 있는데요. 그날을 도요노우시노히(土用の丑の日)라고 해요.
자세하게 소개해드릴게요.
< 도요- 土用 란? >
옛날 달력인 음력에서는 계절이 시작되는 날을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이라고 불렀습니다.
도요(土用)는 이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의 전날까지의 18일간을 의미하며, 그런 만큼 일 년에 4번 있었어요.
그중에서도 일본의 여름은 살인적인 기온으로 유명한 만큼, 여름의 도요는 더운 날씨가 계속되기 때문에, 몸에 좋은 음식을 먹어 체력을 비축하며 몸보신하려는 습관이 생겼어요.
우리나라의 복날과 비슷하죠?
< 우시노히(丑の日)란? >
십이간지 다들 아시죠?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 이 열두 띠는 날에도 사용되었는데요.
일본어로 하면 쥐(자)의 날은 '네노히(子の日)' 소(축)의 날은 '우시노히(丑の日)' 등등으로 부르는데 십이간지는 12개이므로 12일 간격으로 돌아옵니다.
도요는 18일 있다고 아까 말씀드렸죠? 그러니 여름 도요의 우시노히는 18일 동안 1번 혹은 2번 찾아옵니다.
< 도요-의 우시노히가 우나기(장어) 먹는 날이 된 이유? >
여름 도요의 우시노히(土用の丑の日)에 우나기(장어)를 먹는 풍습은 에도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해요.
히라가 겐나이(平賀源内)라고 하는 학자이자 발명가 의상 등등 무수한 타이틀을 가진 사람이 우나기집 간판에 '本日土用丑の日(오늘도요우시노히)'라고 써놓은 것이 계기가 되어 널리 퍼졌다고 전해집니다.
< 도요- 우시노히에는 우나기만 먹을까? >
여름 도요의 우시노히에는 우나기외에도 '우(う)'자가 들어가는 음식을 먹으면 좋다고 여겨졌어요.
예를 들어 '우동' '우리(오이)' '우메보시(매실 장아찌)' 등이 있습니다.
< 도요-의 모모유(복숭아탕) >
일본에서는 이 여름 도요 때에 '모모유 (桃湯/복숭아탕)'에 들어가는 습관이 에도시대부터 생겼다고 해요.
복숭아탕은 복숭아 열매를 넣는 것이 아니라, 말린 복숭아 잎을 담근 후 끓인 목욕탕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북숭아탕에 들어가는 이유는, 땀띠 나 습진을 낫게 하는 효능이 있고 예로부터 복숭아에는 마귀를 쫓는 힘이 있다고 여겨졌어서라고 하네요.
2. 일본의 풍습, 조상을 맞이하는 날인 오봉(お盆)
오봉은 우리나라의 추석 같은 일본 명절인데요.
오봉의 정식명칭은 우라봉에(盂蘭盆会)라고 하고 원래는 인도의 불교 행사였으나,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해지면서 조상의 영혼을 맞이하고 위로하는 일본 고유의 행사가 되었다고 합니다.
< 오봉(お盆)의 일반적인 일정은? >
오봉 명절의 기간은 일반적으로 양력으로 8월 13일 ~ 16일까지라고 합니다.
그 안에서 행해지는 일반적인 일정을 간략하게 소개해 드릴게요.
- 13일 : 조상의 영혼을 맞이하는 날 (무카에봉 / むかえ盆)
집에 본다나(盆棚)라고 불리는 선반을 만들어 놓습니다. 그리고 조상의 영혼이 길을 잃지 않도록 저녁부터 무카에비(むかえ火)라고 불리는 불을 피운다고 합니다. - 14,15일 : 매일 향을 피우고 등불이 꺼지지 않도록 합니다. 그리고 매일 본다나와 불단(仏壇)의 물을 갈고 차례상의 (밥/과자/계절 과일 등) 음식들을 새롭게 바꿉니다. 가족, 친척이 모이고 스님을 모셔서 경을 읽게 하는 집도 있습니다.
- 16일 : 조상의 영혼을 보내는 날 (오쿠리봉/ 送り盆)
본다나를 치우고 조상의 영혼이 무사히 돌아가도록 하기 위해서 '오쿠리비(送り火)'라고 하는 불을 피웁니다.
이렇게까지가 정석? 적인 오봉 일정이긴 합니다만, 요즘 일반적인 가정은 이렇게까지 하는 집은 많을 것 같지 않다고 생각되네요.
그냥 가족끼리 모여서 저녁 먹고 성묘 갈 사람들은 가고.. 이런 분위기 같습니다.
<오봉야스미 (お盆休み)가 공휴일이 아닌 이유? >
위에서 알려드린 8월 13일부터 16일까지가 일반적인 일본 명절 '오봉 야스미(오봉 휴가 기간)'인데요.
달력을 봐도 우리나라의 추석이나 설날처럼 빨간 날, 그러니까 일본 국가가 공식적으로 정한 공휴일이 아니에요. 왜 그런 걸까요?
이유 1
오봉이 불교 행사라서라고 하네요.
특정 종교에 기반한 행사를 국가의 공휴일로 정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크리스마스도 공휴일이 아닌가 봐요)
이유 2
오봉의 시기 때문이라는데요. 시기가 지역마다 다를 수 있어서 전국적으로 통일된 공휴일로 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고 하네요.
이유 3
오봉은 공휴일은 아니지만 많은 기업이나 단체가 자율적으로 오봉 휴가 기간을 정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법으로 날짜를 정할 필요성이 없다고 하네요.
< 한국 추석과 일본 오봉의 차이점은 뭘까? >
우리나라의 추석과 일본의 오봉은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다른데 ,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간략하게 소개해 드릴게요.
1. 시기의 차이
추석 : 음력 8월 15일 (보통 9월~10월 경)
보통 3일간
오봉 : 대부분의 지역에서 8월 13일 ~16일 (일부 지역에서는 7월)
지역에 따라 3~4일간
2. 기원의 차이
추석 : 추수를 앞두고 풍년을 기원하는 고대 농경문화에 유래하는 수확제
오봉 : 불교의 우라봉에(盂蘭盆会)와 일본의 조상을 공양하는 문화가 융합된 것
3. 주요 활동의 차이
추석 : 차례상을 차리고 성묘하고 , 전통 놀이와 송편 등 특별한 음식을 즐김
오봉: 조상의 영혼을 맞이하고, 공양, 보내는 의식을 하고 성묘를 함
4. 문화적 의미
추석 : 가족의 정을 두텁게 하고, 수확에 앞서 풍년을 기원하는 축제적 요소가 강함
오봉 : 조상 공양에 중점을 둔 종교적 요소가 강함
< 일본인은 오봉 휴가 기간 때 무엇을 할까? >
일본인들은 오봉 휴가 기간을 어떻게 보낼까요?
우선 우리나라처럼 많은 사람들이 명절 때 고향으로 돌아가 가족이나 친척과 함께 시간을 보냅니다.
함께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담소를 나누고 성묘를 가기도 합니다.
그리고 지역에 따라 오봉과 관련된 봉오도리(모두 하나가 되어서 빙빙 돌며 춤을 추는 것)나 불꽃놀이 같은 축제나 행사에 참가하기도 합니다.
오봉 휴가 기간에 가족끼리 여행을 떠나기도 합니다.
관련 포스팅
2024.08.22 - [일본 정보 이야기] - [일본 문화] 하츠모우데(初詣) 세츠분(節分) 등 일본의 계절별 전통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일본 문화] 하츠모우데(初詣) 세츠분(節分) 등 일본의 계절별 전통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
안녕하세요.오늘은 일본의 계절별 전통문화를 소개해드리려고 해요.새해의 전통이나 세츠분 문화 , 여름과 겨울에 선물을 보내는 오츄겐, 오세이보 문화 등을 소개해 드릴게요. 1. 새해의 해
erinisstoryofjapan.tistory.com
2024.08.16 - [일본 정보 이야기] - [일본 문화] 마네키네코(招き猫) / 다루마(だるま)에 담긴 뜻을 아세요?
[일본 문화] 마네키네코(招き猫) / 다루마(だるま)에 담긴 뜻을 아세요?
오늘은 일본 문화와 깊게 관련된 행운을 비는 상징(縁起物)중 하나인 마네키네코와 다루마에 대해서 소개해 드릴게요.마네키네코와 다루마의 유래, 색상과 생김새 그리고 그의 의미, 소원 비
erinisstoryofjapan.tistory.com
2024.08.09 - [일본 정보 이야기] - [일본 문화] 일본 신사(神社)와 신사에서 소원비는 법 다 알려드릴께요!
[일본 문화] 일본 신사(神社)와 신사에서 소원비는 법 다 알려드릴께요!
해외여행 가실 때 그 나라 특유의 전통적인 문화를 느낄 수 있는 장소를 좋아하는 분들 있으신가요?물론 세련된 도시도 좋지만 고즈넉하고 조용한 곳을 좋아하신다면 일본의 신사를 가보시는
erinisstoryofjapan.tistory.com
'일본 정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여행] 2024년에 새롭게 오픈한 도쿄의 관광 명소 3곳은? (3) | 2024.09.17 |
---|---|
[일본 문화] 일본의 오마츠리(お祭り)문화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드릴께요. (9) | 2024.09.03 |
[일본 문화] 하츠모우데(初詣) 세츠분(節分) 등 일본의 계절별 전통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0) | 2024.08.22 |
[일본 문화] 마네키네코(招き猫) / 다루마(だるま)에 담긴 뜻을 아세요? (0) | 2024.08.16 |
[일본 문화] 일본 신사(神社)와 신사에서 소원비는 법 다 알려드릴께요! (0) | 2024.08.09 |